[설교] 마태복음 13:24~30, 36~43 "알곡 신앙의 역사의식 The Finest of Wheat Faith : Historical Awareness"
https://www.sarang.org/tv/sermon.asp?pageFlag=sermon&sflag=sun&db_idx=19985&page=0&searchString=
[마태복음 13:24~30, 36~43]
24 예수께서 그들 앞에 또 비유를 들어 이르시되 천국은 좋은 씨를 제 밭에 뿌린 사람과 같으니
Jesus told them another parable: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a man who sowed good seed in his field.
25 사람들이 잘 때에 그 원수가 와서 곡식 가운데 가라지를 덧뿌리고 갔더니
But while everyone was sleeping, his enemy came and sowed weeds among the wheat, and went away.
26 싹이 나고 결실할 때에 가라지도 보이거늘
When the wheat sprouted and formed heads, then the weeds also appeared.
27 집 주인의 종들이 와서 말하되 주여 밭에 좋은 씨를 뿌리지 아니하였나이까 그런데 가라지가 어디서 생겼나이까
"The owner's servants came to him and said, 'Sir, didn't you sow good seed in your field? Where then did the weeds come from?'
28 주인이 이르되 원수가 이렇게 하였구나 종들이 말하되 그러면 우리가 가서 이것을 뽑기를 원하시나이까
" 'An enemy did this,' he replied. "The servants asked him, 'Do you want us to go and pull them up?'
29 주인이 이르되 가만 두라 가라지를 뽑다가 곡식까지 뽑을까 염려하노라
" 'No,' he answered, 'because while you are pulling the weeds, you may root up the wheat with them.
30 둘 다 추수 때까지 함께 자라게 두라 추수 때에 내가 추수꾼들에게 말하기를 가라지는 먼저 거두어 불사르게 단으로 묶고 곡식은 모아 내 곳간에 넣으라 하리라
Let both grow together until the harvest. At that time I will tell the harvesters: First collect the weeds and tie them in bundles to be burned; then gather the wheat and bring it into my barn.' "
36 이에 예수께서 무리를 떠나사 집에 들어가시니 제자들이 나아와 이르되 밭의 가라지의 비유를 우리에게 설명하여 주소서
Then he left the crowd and went into the house. His disciples came to him and said, 'Explain to us the parable of the weeds in the field.'
37 대답하여 이르시되 좋은 씨를 뿌리는 이는 인자요
He answered, 'The one who sowed the good seed is the Son of Man.
38 밭은 세상이요 좋은 씨는 천국의 아들들이요 가라지는 악한 자의 아들들이요
The field is the world, and the good seed stands for the sons of the kingdom. The weeds are the sons of the evil one,
39 가라지를 뿌린 원수는 마귀요 추수 때는 세상 끝이요 추수꾼은 천사들이니
and the enemy who sows them is the devil. The harvest is the end of the age, and the harvesters are angels.
40 그런즉 가라지를 거두어 불에 사르는 것 같이 세상 끝에도 그러하리라
'As the weeds are pulled up and burned in the fire, so it will be at the end of the age.
41 인자가 그 천사들을 보내리니 그들이 그 나라에서 모든 넘어지게 하는 것과 또 불법을 행하는 자들을 거두어 내어
The Son of Man will send out his angels, and they will weed out of his kingdom everything that causes sin and all who do evil.
42 풀무 불에 던져 넣으리니 거기서 울며 이를 갈게 되리라
They will throw them into the fiery furnace, where there will be weeping and gnashing of teeth.
43 그 때에 의인들은 자기 아버지 나라에서 해와 같이 빛나리라 귀 있는 자는 들으라
Then the righteous will shine like the sun in the kingdom of their Father. He who has ears, let him hear.
오정현 우리 담임 목사님💖 · 주후 2020.01.19 주일예배
1. 역사의 흐름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 목사님의 답: 둘 다. 좋아지기도 하고 나빠지기도 할 것이다.
마태복음 13:38 밭은 세상이요 좋은 씨는 천국의 아들들이요 가라지는 악한 자의 아들들이요
→ 알곡 신앙 사람들이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고 시대적 사명을 감당하면 나아질 것이고 못하면 나빠질 것이다.
→ 알곡 신앙의 역사관을 극대화 시킬 때 역사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 똑 같은 아침이슬을 소가 먹으면 우유가 되고 뱀이 먹으면 독이 된다.
☞ 죄가 지배하는 이 세상에서 소수의 사람들이 무엇을 얼만큼 할 수 있겠나.
→ 당시 해변가에서 이 설교를 들었던 사람들은 오늘날의 나보다 더 나은 것이 하나도 없었다(로마 식민지 사회에서 고통 받던 사람들).
→ 요셉이라는 감옥 죄수 한 명으로 인해 모든 애굽인과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 구원 받았다.
◇ 역사를 공부 → 역사의식 생김 → 의식 개혁 일어남 → 개인과 공동체를 바꿀 수 있다.
누가복음 18:13 세리는 멀리 서서 감히 눈을 들어 하늘을 쳐다보지도 못하고 다만 가슴을 치며 이르되 하나님이여 불쌍히 여기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하였느니라
가라지 신앙 | 알곡 신앙 |
바리새인 | 세리 |
공로주의, 강퍅, 교만 | 나는 죄인, 가난한 마음 |
마음이 가난해야 은혜를 받는다. | |
마태복음 12:41-42 41 인자가 그 천사들을 보내리니 그들이 그 나라에서 모든 넘어지게 하는 것과 또 불법을 행하는 자들을 거두어 내어 42 풀무 불에 던져 넣으리니 거기서 울며 이를 갈게 되리라
|
마태복음 13:43 그 때에 의인들은 자기 아버지 나라에서 해와 같이 빛나리라 귀 있는 자는 들으라 |
◇ 교회 안에도 알곡과 가라지가 있다
마태복음 13:25 사람들이 잘 때에 그 원수가 와서 곡식 가운데 가라지를 덧뿌리고 갔더니
디모데후서 4:14-15 14 구리 세공업자 알렉산더가 내게 해를 많이 입혔으매 주께서 그 행한 대로 그에게 갚으시리니 15 너도 그를 주의하라 그가 우리 말을 심히 대적하였느니라
→ 영적 역사관을 가지고 영적 전쟁과 고난을 미리 대비하자.
2. 알곡 신앙을 어떻게 유지하고 감당할 수 있는가.
1) 영적으로 깨어 있어야 한다.
마태복음 13:25 사람들이 잘 때에 그 원수가 와서 곡식 가운데 가라지를 덧뿌리고 갔더니
① 영적으로 깨어 있기 위해서는 인생의 짐을 가볍게 해야 한다.
② 가라지 판별이 아니라 하나님 주신 사명에 집중해야 한다.
2) 올바른 교회관이 있어야 한다.
올바른 교회에서 바르게 양육 받아야 한다.
→ 예수님 이 땅에 오셔서 국가, 정부 등이 아니라 교회를 세우셨다.
→ 역사를 일구어 가는 자는 남은 자(그루터기, 알곡 신앙)이다.
"하나님께서는 교회의 품속으로 자녀들을 모으시기를 즐거워 하셨는데 이는 그들이 유아와 어린아이 시절 동안만 교회의 도움과 봉사로 양육 받을 뿐 아니라, 어머니와 같은 교회의 보호와 지도를 받아 어른이 되고 드디어는 믿음의 목적지에 도달하게 하시려는 것이다. (우리가 기도할 때)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는 사람은 교회가 어머니가 되어야 한다." - 『기독교 강요』 요한 칼빈 -
* 2월 4일 주일예배라는데...? 이게 맞나...🤔 오늘이 주후 2024년 1월 27일 토요일. 그리고 이것은 주후 2024년 2월 4일 주일예배 설교. 뭐지. 미래를 미리 사는 건가(오...!!!! 👍😍💖)
* 이 설교는 이전 토비새 때였나 주일예배 때였나에서 살짝 들은 적이 있다. 그때도 알곡과 가라지 / 양과 염소로 나누셨더랬는데. 어릴 때는 알곡과 가라지를 잘 구별할 수 없다. 자라고 나면 가라지는 알곡보다 훨씬 크게 자라기 때문에 그 가라지들을 손쉽게 뽑아낼 수 있다. 그렇기에 바로 뽑겠다는 천사들에게 '놔 두라'고 하신 예수님이라고.
* 9.26 한교섬 때 박희천 원로 목사님께서 말씀하셨다. 목회자는 매주 최소 한 편 이상의 설교를 준비해야 하기에 한 해 동안 50편, 10년에 500편, 30년이면 1500편의 설교를 늘 새로이 길어 내어야 하는 극한의 작업을 감당해야 한다고. 아무리 뛰어난 교수님이라 하더라도 한 번 책과 커리큘럼을 잘 마련해 놓으면 적어도 몇 년은 그대로 써먹는데, 목사님들은 매주 새로운 설교를 해야 하기에 성경이 통째로 머리에 들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고. 그래서 담임 목사님이 되기 전 적어도 성경을 100독은 해두어야 한다고. 그리하여 설교 준비할 때 '여기에 관련된 구절이 어디에 있더라?'하고 머릿속에서 창세기 1장, 2장, 3장... 촤라락... 아니고, 출애굽기 1장... 촤라락... 아니고, 레위기... 3장... 앗 여기다! 몇 절! 이러면서 관련 구절을 찾아 내신다고. 그 말씀 듣고 혀를 내둘렀는데. 목회자님들은 머릿속이 컴퓨터야...;;;
생각해 보면 한 사람이 살아낼 수 있는 인생이 한 명 분량인데 어찌 최소 1500편, 많으면 수천 편에 해당하는 수많은 설교를 새로이 길어낼 수 있겠나.
더 큰 문제는 설사 그렇게 매번 신선하고 새로운 설교를 길어낸다 한들, 그것을 성도들이 매번 제대로 소화할 수 있는가.
그럴 수 있을 리 없지 않나. 그러니 오히려 목회자님들 마다 신앙 속 삶에 대한 묵상이 다르실 텐데, 각 목사님들 마다에 하나님께서 특별히 조명하시는 포인트들을 정리하여 일정 기간을 두고 반복 + 심화하여 제시했을 때 성도들의 신앙이 더욱 튼튼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목사님들 정말 대단해. 성령님의 도우심이 없다면 10년 아니라 1년도 해낼 수 없는 일인 것 같다.ㅠㅠ
*
최근 들어 자꾸 알고리즘으로 뜨는 설교들이 4년 전 오정현 목사님의 설교들이다. 그래서 하나씩 뜨는 것을 보고 있는데, 보면서 깜짝깜짝 놀라곤 해. 그동안 내가 하나님께 개인적으로 훈련 받아 적용하고 있는 내용들이 그대로 다 선포되고 있는 거라. 난 그 설교 전혀 듣지 않았거든. 그런데 어쩜 현재의 나를 정확하게 읽어주는 설교가 4년 전에 선포되었는가. 놀라워도 너무나 놀랍다. 오정현 목사님은... 4년을 앞서 사시는 분이신가 봄... ㄷㄷㄷ 아니, 12년 전이었나, 민족복음화를 위해 기도하셨으니 10년을 앞서... 아냐, 또 몰라. 어쩌면 20년 전에 이 모든 걸 다 설교해 두셨던 거 아니심??🤔😓😓
*
내가 은혜 받고 있어서 그렇지. 하나님께서 말씀 은혜를 부어 주실 땐 어디를 가도 어떤 말씀을 들어도 내 현재 상황에 정확히 클릭하니까. 그건 그런데. 요즘 뭐 통독이건 큐티건 펼치기만 하면 말씀의 별들이 쏟아지고 있긴 한데, 아무리 그렇다손 치더라도 우리 오정현 목사님의 설교는 정말이지 신기할 정도로 맞춤형이란 말야. 최근 것 뿐 아니라 수년 전의 설교들까지 그러하니 참... 이걸 어떻게 이해해야 해.아니 이게 아니라.이 설교 내용에 대한 내 생각을 적어야지.;;;;
*
하나님은 소수의 그루터기/남은 자/알곡 신앙을 통해 역사를 이루어 가심은 재작년 사랑의교회에 돌아오자마자 배웠다. 목사님의 주일 설교에서 내내 강조하셨으니까. 처음 설교 들었을 땐 놀랐는데. 그 말씀 듣고 성경을 보니 과연 그러했다. 아브라함 한 사람을 통해 이스라엘 민족을 대대손손 복을 주시고, 모세 한 사람의 전적 순종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의 그 많은 불순종을 용납하셨고, 하나님 마음에 합한 다윗 한 사람으로 인해 이스라엘을 참으시며 복 주신다. 그 외에도 예레미야, 느헤미야 등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악에 진노하신 하나님 앞에 엎드려 이스라엘의 죄악을 용서해 달라고 빌고 또 비는 선지자들로 인해 하나님은 그 많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죄악을 용서하시고 또 다시 인내하신다. 의인의 간구는 역사하는 힘이 크시다 했고,
베드로전서 3:12 주의 눈은 의인을 향하시고 그의 귀는 의인의 간구에 기울이시되 주의 얼굴은 악행하는 자들을 대하시느니라(against) 하였느니라
했다. 하나님은 항상 의인을 바라 보시고 집중하신다. 그리고 지금 이 시대, 이 세계에서도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의인 한 명을 찾으신다.
오정현 목사님의 설교를 통해 받게 되는 위로는 '내가 그 한 사람 의인이 되었으면 좋겠다'라는 바람으로 확장된다. 이것이 내가 체감하는 오정현 목사님의 설교다. 단지 머리로 '아, 하나님은 이러 이러한 분이시구나', '아, 이럴 때는 이렇게 저렇게 하면 되는구나', '이런 점을 회개해야겠다'에서 끝나지 않는다. 목사님의 설교를 들으면 뭔가 '내가 저 사람이 되고 싶다', '나도 저 의인이 되고 싶다', '내가 어떻게 하면 될까?'를 꿈꾸게 된다. 물론 어떻게 하면 되는지에 대해서까지 답을 주시는 분이 우리 목사님이다.
책을 읽으면 저자의 삶과 성품이 보이곤 한다. 자서전이 아니어도 그러하다. 문체도 있고 글 속에 다루는 글의 소재, 주제, 특정 사안에 대한 저자의 관점 등을 통해 어렴풋이나마 '이 사람은 이러이러한 사람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곤 해.
시간적 여유가 허용되는 책에 비해 설교는 상당히 날것이라, 설교 한 편에는 설교자의 삶과 성품과 신앙적 내공이랄까, 그러한 것이 그대로 드러나곤 한다. 내가 오정현 목사님의 설교를 통해 느끼고 있는 목사님은 지금껏 많이도 표현했다만, 여기서 다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진리를 향한 처절한 몸부림, 그것이다. 다른 곳에서 들을 수 없는 설교. 목사님 당신이 어려서부터 이해하기 힘들었을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수없이 하나님 앞에 질문하며 고군분투하며 삶의 모든 길을 성장해 오셨기 때문에, 목사님의 설교에는 그러한 몸부림의 흔적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것을 여러 풍성한 요소들과 함께 아름답게 엮어서 제시하시기에 언뜻 알아채기는 어렵겠지만, 진지하게 하나하나 듣고 읽으며 분석하다 보면 뭔지 모를 감동이 오곤 한다. 바로 그러한 투쟁의 땀방울이 흠뻑 스며든 설교이기에, 설교를 듣고 나면 '내가 저 의인이 되고 싶다!'라는 소망의 불꽃이 생겨나고 타오르게 된다. 사람들은 이것을 '감동'이라는 단어로 표현하곤 하지만, 그것으론 충분하지 않다. inspiration? 딱 적절한 단어는 모르겠으나.
*
교회 안에도 알곡과 가라지가 있다.
이 말에서는 뜨끔해야 할까? 제자반이 시작하는데... 본격 알곡과 가라지가 드러나는 시기일 테지. 문제는 내가 가라지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1년 반이 넘도록 제자반을 위해 기도해 오면서 나는 항상 '제가 제자반에 폐가 되지 않게 해주세요'라 기도하고 있는데, 얼마 전 기선대 최 권사님께서 '그 기도는 겸손한 기도도 아니고 적절하지도 않다. 하나님 기뻐하지 않으시니 그렇게 기도하지 말라'고 하셨다. 그런가... 하나님 기뻐하지 않으시는 걸까... 난 정말로 부족한 점이 많아서 그러는 건데. 내가 단체 생활에 취약한 데다, 경제적으로건 성격적으로건 부족한 점이 너무 많아서 그 점이 걱정인 거라.
[마]18:6 누구든지 나를 믿는 이 작은 자 중 하나를 실족하게 하면 차라리 연자 맷돌이 그 목에 달려서 깊은 바다에 빠뜨려지는 것이 나으니라 [마]18:7 실족하게 하는 일들이 있음으로 말미암아 세상에 화가 있도다 실족하게 하는 일이 없을 수는 없으나 실족하게 하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도다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바로 이 구절이다. 그래서 간절하게 기도하고 있는 것이다. 부디 내가 그 가라지가 되지 않기를.
한 가지 희망적인 말씀을 주신 것은 '가라지도 노력하면 알곡이 될 수 있다' 하신 것. 그 부분은 필기를 놓쳤나 본데.
자, 적용에 있어 '어떻게 알곡 신앙을 유지할 수 있나'에 대해 1) 인생 짐 가볍게 하고 사명에 집중함으로 영적으로 깨어 있어야 하며, 2) 올바른 교회관이 있어야 한다 라 하셨다.
영적으로 깨어 있기 위해선 인생의 짐을 가볍게 해야 하는구나.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내 주변의 모든 것을 다 정리해 주셨구나. 그리고 사명을 주셨구나. 사명에 집중해야 하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올 한 해 제자반과 사가 섬김에 집중하면서 문화 비전 글을 쓰기 위한 준비 작업을 철저히 해야겠다. 다행히 둘 다가 그 작업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 할렐루야. 올바른 교회관을 가지기 위해선 올바른 교회에서 양육 받아야 한다고 답을 주셨네요. 그런데 올바른 교회를 어떻게 분별하나요? 사랑의교회야 당연히 올바른 교회이지만,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들에게 그 교회가 올바른 교회인지 아닌지를 분별해 주는 데 있어 기준점이... Coram Deo: Sola Scriptura / Sola Fide / Sola Gratia / Solus Christus / Soli Deo Gloria 일까...? 교리대학 다시 들어야 할 판.ㅠㅠ 아 그나저나 이번 봄에는 성경대학 I 들어야 한다. 작년에는 사가 때문에 들을 수 없었어서. I을 먼저 들었으면 좋았을 걸 II를 먼저 듣는 바람에.
*
목사님은 이대로 설교하실까? 목사님 설교 스타일로 보았을 때 1+2+3+α 이시던데. ㅎㅎ 두근두근 ♥ ♥ 기대됨.💖🥰💕
→ ◇ ☞ † ⇒ ☆ § √ ♥ ♥ ♥ ① ② ③ ④
[설교] 마태복음 16:13-18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예수님은 누구신가 Who Is Jesus?] 시리즈 1회 (2) | 2024.01.28 |
---|---|
[설교] 요한복음 14:6, 사도행전 4:12 "왜 오직 예수님인가?" (3) | 2024.01.27 |
[설교] 시편 145:1 "송축, 왕께 드리는 종의 찬미" (2) | 2024.01.26 |
[설교] 요한1서 1:5~7 "과연 빛으로 살 수 있을까? Possible to Live by the Light?" (4) | 2024.01.15 |
[설교] 요한1서 1:3~5 "기쁨이 없는 복음은 복음이 아니다 The Gospel without Joy is Not the Gospel" (2) | 2024.01.11 |